눈결막염, 건조한 겨울철 특히 조심해야 할 안질환!
점점 심해지는 미세먼지는 눈결막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데, 거기에
겨울철 하루종일 틀어대는 난방기와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기기
사용이 늘어난 것 역시도 결막염
환자의 발병 빈도를 점점 높이고
있는 이유라고 합니다.
결막염이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흰 부분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에 생긴 염증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원인에 따라 세균성 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 결막염, 클라미디아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있다고
합니다. 결막염은 대표적으로
세균과 바이러스가 모두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세균성 결막염을 유발하는 흔한
균은 황색포도상구균이며 그 외에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구균도
결막염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미세먼지,
진드시, 동물 비듬, 점안액, 약물,
콘택트 렌즈 등 알레르기원이나
담배연기 등의 화학물질에 노
출되어 발생한다고 합니다.
안검의 아래 안쪽인 눈커풀판에
생기는 결막염은 콘택트렌즈 등
이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경우
발생한다고 합니다.
결막염의 증상 중 세균성 결막염은
이물질, 눈물, 충혈, 점액 성 고름이
보이며 일반적으로 한쪽 눈에서
다른 쪽 눈으로 전염된다고 합니다.
바이러스 성 결막염은 눈물, 이물감,
충혈, 약한 눈부심이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은 심하지 않으면
치유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간혹 통증이 심해지며 결막하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클라미디아 결막염은 대표적으로
점액화농성 분비물, 이물감, 충혈,
안검부종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알레르기 성 결막염 증상중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가려움이라고
합니다.
작열감, 충혈, 눈물이 나며 심한
경우 눈 전체가 풍선처럼 부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급성기에는 희거나
맑은 분비물이 있으나 만성화되면
점점 끈적해지고 화농성으로 악화가
된다고 합니다.
결막염 치료는 눈결막염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우선 세균성 결막염과 클라미디아
결막염은 항생제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일정 기간 후에
치유되지만 치유되지만 세균의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국소항생제를
점안하기도 하며 증상이 심하면
국소 치료제를 적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기도 한다고 합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항히스타민제등을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고 합니다.
결막염의 경우에는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눈안에 염증이 계속적으로
진행이 되면서 각종 안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에 증상이 의심될때에는
반드시 안과를 찾아서 이에 맞는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양방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리병원의 카탈리스 레이저 수술 (0) | 2021.02.14 |
---|---|
눈건조증을 예방하는 법!! (0) | 2021.01.22 |
노원노안수술 어디가 잘할까요? (0) | 2021.01.13 |
이수역노안치료 내게 맞는 방식으로 (0) | 2021.01.12 |
백내장수술비용 혼탁해지는 부위가 발생했다면 (0) | 2020.12.21 |